세계사 상식
-
(세계사 상식 35) 시민혁명와 청교도혁명세계사 상식 2023. 10. 13. 15:26
시민 계급의 성장 16세기 이후 유럽에서는 상인이 아닌 생산자가 임금 노동자를 고용해 분업에 기초한 협력 생산을 시행했습니다. 이로써 자본주의의 출발점이 되는 공장제 수공업이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지방 영주들을 제압해 강력한 중앙집권정치를 펼치고자 했던 유럽의 왕들과 시장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대상인들은 서로 결탁하여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고 다양한 특권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공장제 수공업의 이윤이 생산자들의 손에 들어가는 것을 불리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왕권과의 결합을 강화하고 공장제 수공업에 기초한 중소 상공업자들의 활동을 억제했습니다. 그러자 중소 상공업자들이 대상인들의 지배에 대항하여 공장 생산에 종사하는 공장 경영자인 산업 자본가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영국 농촌의 경우 자영 ..
-
(세계사 상식 34) 16세기 절대 왕정 - 2세계사 상식 2023. 10. 12. 13:51
영국의 절대주의 영국은 이혼 문제로 대립했던 헨리 8세 때 잉글랜드 교회를 로마교회로부터 독립시키면서 절대주의를 확립했습니다. 엘리자베스 1세는 화폐 개혁 등을 통해 절대주의의 전성기를 가져왔습니다. 스페인은 지방 영주나 기사 등의 계급을 후퇴시켜 신흥 부르주아를 양산하지 못한 반면, 영국은 국가가 직접 나서서 상업을 보호하고 육성하는 중상주의 정책을 펴 진취적이면서도 충성스러운 신흥 부르주아를 양산했습니다. 이렇게 절대주의를 굳혀간 엘리자베스 1세는 스페인이 후원하는 아일랜드의 가톨릭계 여왕 메리를 참수하면서 스페인의 펠리페 2세에 대항합니다. 스페인 무적함대를 공격하여 네덜란드의 독립을 원조하는가 하면, 1588년에는 알마다 해전에서 스페인을 무찌르고 해상 발전의 기초를 다지게 되었습니다. 1600년..
-
(세계사 상식 33) 16세기 절대 왕정 - 1세계사 상식 2023. 10. 11. 19:29
절대주의 국왕에 의해 군사, 재정, 행정 등의 권력이 중앙으로 집중된 전제정치를 절대주의라고 합니다. 16세기부터 시작해 18세기에 이르러 절정을 이룬 절대주의는 국왕이 대상인과 결탁하여 재원을 확보하고 왕의 개인적 군대나 관리를 양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왕들은 절대주의를 통해 식민지를 쟁탈하고 국내 산업을 보호 및 통제했습니다. 여기에 왕권은 신으로부터 내려진 신성한 것이라는 "왕권신수설"로 전제정치를 이론화 했습니다. 유럽의 절대주의는 이미 과학혁명이라는 대사건을 거친 후 형성되었기 때문에 계몽적 절대주의를 선택하여 새로운 국가로 거듭나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유럽의 절대주의는 경제적으로 중상주의를 채택했습니다. 중상주의는 교역을 장려한 이념이었습니다. 한 나라의 부..
-
(세계사 상식 32) 신항로 개척세계사 상식 2023. 10. 10. 12:06
인도 항로 르네상스 및 종교 개혁이 일어나던 15세기 중반 무렵, 포르투갈의 "항해 왕"이라고 불렸던 엔리케 왕자에 의해 동방 무역의 루트를 개척하는 움직임이 두드러지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지시에 따라 포르투갈 해군은 아프리카 서안을 탐험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유럽 국가들의 대항해 시대의 시작입니다. 1488년에는 바르톨로뮤디아스가 포르투갈의 주앙 2셍의 명령을 받고 아프리카의 희망봉에 도달합니다. 이어 바스코 다 가마가 10개월의 대장정 끝에 희망봉을 돌아 1498년 남인도 캘리컷에 도착합니다. 1508년에는 포르투갈이 이슬람 국가인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와의 해전에서 승리하고 말레이반도의 말라카 왕국을 정복하면서 인도 항로를 거의 독점하게 됩니다. 모르투갈은 이렇게 이슬람 상인의 인도양 무역 루트를 ..
-
(세계사 상식 31) 프로테스탄트와 영국 국교회세계사 상식 2023. 10. 9. 20:51
루터의 "95개조 반박문" 중세 유럽은 기독교 만능의 시대였다. 특히 로마 교황은 온 세계 교회와 신도를 밑에 두었다. 그 권력은 한 국가의 황제를 파문으로 굴복시킬 정도였다. 이런 절대적 권력과 부귀는 부패와 타락을 가져왔습니다. 그 대표적인 부패와 타락이 바로 면죄부 판매였습니다. 그러자 르네상스 후반인 16세기 초반부터 신성로마 제국에서 로마 카톨릭 교회에 대한 비판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비텐베르크 대학의 교수였던 루터는 1517년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하여 종교 개혁의 횃불을 들었습니다. 그는 성서 중심주의를 주창하며 교황권을 부정했습니다. 황제 카를 5세는 루터를 신성로마 제국 의회로 소환하여 주장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으나, 그는 굽히지 않았습니다. 루터는 '구원은 믿음에 의해서만 ..
-
(세계사 상식 30) 인간 중심의 르네상스세계사 상식 2023. 9. 28. 16:46
르네상스의 의미 르네상스는 중세적 봉건적 속박에서 벗어나려는 정신 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훗날 교황의 권위를 부정하고 성서와 신앙의 존엄을 확립하려는 종교 개혁운동이 되었다.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르네상스는 프랑스어로 재생 또는 부흥을 의미한다. 르네상스의 특징은 휴머니즘이라 부리는 인간 중심의 사고방식과 합리주의를 들 수 있다. 봉건사회와 금욕적인 크리스트교 정신에 얽매이지 않고 인간성을 중시하는 문화가 바로 르네상스이다. 문예 부흥이라고도 번역이 되는데 단순히 문예의 부흥만이 아니라 사회의 개혁이요, 근대의 시작이었다. 르네상스의 시작 14세기 로마와 그리스 등의 고전 문화적 자산이 풍부했던 이탈리아에서 르네상스가 처음 일어난 것은 비잔틴 제국의 멸망으로 다수의 학자가 이탈리아로 이주해 온 이유도 있지..
-
(세계사 상식 29) 크리스트교 중심의 중세 문화세계사 상식 2023. 9. 27. 19:20
유럽 중세 문화는 융합의 문화 절대적으로 크리스트교 문화의 지배를 받았던 중세 서유럽 문화는 크리스트교를 중심으로 한 로마 문화와 게르만 문화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서 간의 오랜 전쟁을 통해 이슬람 비잔틴 문화의 영향도 받았다. 특히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는데, 이베리아 반도의 코르도바에서는 유럽 각지에서 온 유학생들이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과 아라비아의 고도의 수학과 천문학을 배웠다. 유럽의 대학과 학문 1150년경 이탈리아의 볼로냐에 유럽 최초의 대학인 볼로냐 대학이 생겼다. 주로 법학과 여러 학문을 가르쳤으며, 그중에는 아라비아의 의학을 가르친 살레르노 대학도 있었다. 이 외에도 신학을 가르친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과 프랑스의 파리 대학이 유명하다. 공용어는 라틴어였고, 학문 중에서는 신학이 ..
-
(세계사 상식 28) 십자군의 탄생세계사 상식 2023. 9. 26. 18:58
십자군의 형성 배경 11세기 무렵, 서유럽의 국가들 사이에서는 세력 확대의 기운이 높아지고 있었다. 십자군 전쟁의 배경에는 동방 무역의 확대를 위한 이탈리아 각 도시의 동지중해 진출과 크리스트교의 국토 회복 운동의 고조, 더불어 유럽 사회 전체의 안정 상태가 깔려 있었다. 한편, 7세기 이후 크리스트교의 성지 예루살렘이 이슬람교도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성지 회복의 움직임도 고조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셀주크 황조가 아나톨리아를 침략했다. 수도 콘스탄티노플 함락의 위기를 느낀 비잔틴 황제 알렉시우스 1세는 로마 교황 우르바노 2세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우르바노 2세는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비잔틴 제국 중심의 동방 종교회와 서유럽 중심의 로마 가톨릭 교회의 통일을 목표로 성지 회복을 호소했고 결국 십자군이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