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사 상식 3) 신의 화신 파라오의 이집트세계사 상식 2023. 9. 13. 01:32반응형
파라오의 지배하에 반성한 나일의 선물, 이집트
흑토의 나라 위에 싹튼 이집트 문명
나일 강은 매년 비슷한 시기에 정해진 수위만큼 범람을 되풀이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나일 강이 다른 거대한 강처럼 대홍수를 일으켜 일껏 일군 논밭과 가축 등에 피해를 입히거나 극심한 가뭄으로 대기근을 일으키는 법이 없었다는 데에 있습니다. 오히려 나일 강의 적당한 범람은 상류에 있던 비옥한 부식토를 하류로 실어 나르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집트인들은 관개 공사를 통해 나일이 주는 선물을 누리기만 하면 되었습니다. 이렇듯 나일 강의 정기적인 범람은 이집트인들로 하여금 농사짓는 시기를 예측할 수 있게 했습니다. 고왕국 시대 이후의 그림과 조각에서 풍성한 물고기와 새의 수렵이 묘사된 것을 볼 수 있는 것도 나일 강이 수많은 어족과 조류를 이집트인들에게 가져다주지 않았으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나일 강이 주는 혜택 말고도 이집트의 자연조건은 매우 특징적입니다. 동서와 남북이 사막과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철저히 고립되어 있던 탓에 주변국의 침략을 받지 않고 안정된 생활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그덕에 '흑토의 나라' 에 살고 있던 이집트인들은 다른 나라의 민족들에 비해 민족적 우월감을 품게 되었습니다.
고왕국, 중왕국, 신왕국 시대의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함께 시작된 이집트 문명은 나일 강 델타 지대를 중심으로 함어족 이집트인들에 의해 발생했습니다. 그들은 정기적인 범람으로 생긴 비옥한 토지를 이용하여 농사를 지었고, 그들만의 부족국가, 즉 '노모스'를 형성했습니다. 기원전 3000년경 노모스가 차례차례 통합되어 이집트의 2대 국가인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가 탄생했습니다. 이후 상 이집트의 메네스 왕은 하 이집트를 병합하여 제1왕국을 세웠고, 기원전 4세기 후반까지 31개 왕조가 교체됐습니다. 이 시기의 중요한 시대는 크게 고왕국 시대(제3~6왕조, 기원전 28~ 기원전 23세기), 중왕국 시대(제11~12왕조, 기원전 22~ 기원전 18세기), 신왕국 시대(제18~20왕조, 기원전 1567~ 기원전 1085년)로 나뉩니다.
고왕국 시대에는 강력한 왕권이 확립되었는데, 그 상징으로서 피라미드가 건설되었습니다. 왕권이 약해진 중왕국 시대에는 시리아 쪽에서 침입해 온 말과 전차를 가진 유목민 힉소스에게 나라의 일부를 지배당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신왕국 시대에는 다시 힉소스를 물리치고 강력한 군사력으로 해외 원정에 나서 가장 많은 영토를 지배하며 히타이트와 맞섰습니다. 이후 라메스 3세 시대를 경계로 쇠퇴하여 셈계인 아시리아 제국에 지배당한 뒤, 기원전 525년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에 정복됐습니다.
신의 화신 파라오와 피라미드
이집트의 문명은 주변의 민족과 문화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위대했기 때문에 이집트인들은 강한 민족적 우월감에 빠져 있었습니다. 어떤 외부 세계의 문명도 이집트인들을 자극하지는 못했습니다. 따라서 이집트인들의 관심은 자연스레 이웃 나라가 아닌 사후 세계로 향했습니다. 그토록 풍요로운 낙원에서의 삶이 계속되기를 소망했던 이집트인들은 죽은 뒤에도 현세의 풍요로운 삶을 계속 누릴 수 있길 바랐습니다. 죽은 뒤에도 시신을 잘 보존만 하면 혼이 다시 돌아와 부활할 것이라는 '영혼 불멸'을 믿었던 그들은 시신을 보존하기 위해 미라를 만들었습니다. 이집트의 왕 파라오는 신의 화신으로 즉위와 함께 피라미드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피라미드는 높이 146.5미터, 저변은 각각 230미터, 밑면적은 5만 2,900평방미터에 달하고, 경사각은 51도 52부, 각 변은 거의 정확하게 동서남북을 향하고 있습니다. 이는 42층 높이에 축구장 10개를 합한 면적입니다. 피라미드 건축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제3~5왕조로, 이 시기를 '피라미드 시대'라 부르기도 합니다.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히는, 인류 최대의 건축물인 피라미드는 카이로에서 남서쪽으로 13킬로미터 떨어진 기자 지역에 있는데, 이집트 4대 왕조 쿠푸 왕의 무덤입니다.
파피루스와 그림문자
파피루스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이로 파피루스라는 갈대의 줄기를 밀대로 얇게 밀어서 만들었습니다. 영어의 페이퍼, 독일어의 파피르, 프랑스어의 파피에, 러시아어의 파푸카의 어원이 되었습니다. 또한 이집트인들은 새나 사자, 저울 같은 독특한 그림 문자를 사용했는데, 같은 문자라도 격식이 높은 신성 문자와 신관 문자, 민중 문자의 구별이 있었습니다.
동방에서 온 빛, 오리엔트
아라시아 제국에 의한 오리엔트의 통일
이집트가 쇠퇴할 무렵,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고대 바빌로니아가 멸망한 뒤 북부 지역에 '미탄니' 라는 국가가 생성되었습니다. 아시리아는 미탄니 왕국에 속한 약소국들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기원전 9세기 무렵, 미탄니 왕국이 쇠퇴하는 틈을 타서 아시리아는 철기를 도입했습니다. 철제 무기로 무장한 육군을 앞세운 아시리아는 급속히 세력을 키워 정복 전정에 나섰습니다. 마침내 아시리아는 기원전 671년, 이집트를 포함한 오리엔트 중심 지역을 통일했습니다. 이로써 아시리아 제국이 탄생했습니다. 아시리아 수도를 '니네베'에 두고 수많은 민족들을 지배했습니다. 그러나 가혹한 무력 통치에 의한 반발이 적지 않았습니다. 전성기를 구가했던 아슈르바니팔왕은 광대한 영토를 주로 나누어 각지에 총독을 두고, 도로를 정비하여 일정 구간마다 숙박 시설과 식량을 비축해 두는 역전제를 실시, 중앙집권화를 도모했습니다. 그러나 피정복민과 포로를 국내로 강제 이주시켜 중노동을 시키거나, 국민에게 무거운 세금을 지우는 등의 강압적인 지배에 대한 저항이 계속되어 결국 기원전 612년에 멸망했습니다.
반응형'세계사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사 상식 6) 소크라테스 "악법도 법이다" (0) 2023.09.13 (세계사 상식 5) 폴리스를 멸망시킨 어리석은 시민들 (0) 2023.09.13 (세계사 상식 4) 에게 문명 - 그리스 문화의 모태 (0) 2023.09.13 (세계사 상식 2) 계급사회의 탄생 (0) 2023.09.13 (세계사 상식 1) 인류의 탄생 (0) 2023.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