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사 상식 38) 산업혁명세계사 상식 2023. 10. 16. 21:36반응형
산업혁명의 시작
18세기 말, 영국 면공업 분야에서 기계의 실용화가 진행되었다. 특히 영국의 경우 다른 나라보다 발전한 과학기술과 공업의 발전에 따른 기계 수요의 폭증 그리고 제국의 중상주의에 따른 거대 상업 자본의 축적이 산업혁명을 촉발시켰습니다.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시작된 건 다수의 식민지 때문이었습니다. 즉, 시장과 자본이 풍부했다는 것이죠. 또한 노동력을 제공할 임금 노동자가 넘쳐났습니다. 면공업 분야에서부터 시작된 변화는 1760년대 존 케이, 제임스 하그리브스, 리처드 아크라이트가 발명한 방직기에 힘입어 박차를 가했습니다. 게다가 와트가 발명한 증기기관은 생산력을 비약적으로 높였으며, 풀턴의 증기선과 스티븐슨의 증기기관차는 수송면에서 일대 혁신을 이루었습니다. 이렇듯 산업혁명은 기계의 개량과 발명에 따른 생산 방식의 대변혁을 가져 왔고 그에 따른 경제와 사회에 커다란 변화를 불러 일으켰습니다. 19세기에 들어서자 산업혁명의 물결은 구미 각국으로 급속하게 번져나갔습니다.
사회적 영향
19세기로 접어들면서 경제 활동의 중심이 농업에서 공업으로 이동했습니다. 그리면서 기존의 수공업이 몰락하고 공장제 기계공업이 자리를 잡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대량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계와 공장에 적대심을 품은 수공업자에 의해 수십 차례의 기계 파괴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기계 파괴 운동은 미들랜드 지방 노팅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는데, 이 지역은 자본주에게 기계를 빌려 집에서 양말이니 메리야스 등을 생산하는 수공업자들이 많은 지역이었습니다. 그들의 반발은 나폴레옹과의 전쟁 후, 경기가 침체되고 기계 임대료는 상승한 반면, 자신들의 임금은 떨어지자 생산 기계를 파괴한 데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렇게 시작된 기계 파괴 운동은 공장에 설치된 신형의 기계들까지 대거 파괴하는 사건으로 확산되었습니다.
도시는 도시대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는데 부르주아는 산업 자본가로 성장해 경제 사회의 중심을 차지했습니다. 한편, 공장의 대형화/기계화에 따라 신공업도시와 상업 무역 도시가 탄생해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기 시작했습니다. 도시로 인구가 몰리면서 가난한 노동자와 자본가라는 계급을 형성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열악한 노동조건이 사회적으로 문제시되자 자본가와 노동자는 대립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런 노동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동 운동와 사회주의 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이때부터 노동자와 자본가는 서로 대립하는 관계에 있게 됩니다.
17~18세기의 예술
'비뚤어진 모양의 기묘한 진주'라는 포르투갈어인 바로크 미술. 변칙을 의미하는 바로크 미술은 절대주의 전성기의 영향으로 화려하고 호화롭고 활기에 넘치는 양식의 예술로 발전합니다. 이어 18세기 중반에 이르러 절대주의가 쇠퇴하자 조개껍데기라는 뜻의 섬세하고 우아한 로코코 미술이 등장했습니다. 바로크 양식의 미술에서는 관능미를 드러낸 루벤스와 근대 유화 기법을 완성한 렘브란트 등이 이름을 날렸습니다. 건축에서는 바로크 양식의 베르사유 궁전과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가 지은 로코코 양식의 상수시 궁전이 있습니다. 음악 분야에서도 많은 대가들이 나왔는데 바흐와 헨델 등은 절대주의가 절정기에 이르렀을 때 활약한 인물입니다. 이 시기 바로크 음악은 오페라와 발레를 탄생시켰습니다. 18세기 후반에는 고전파 음악의 대가들인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등이 이름을 날렸습니다.
문학
근대에 접어들면서 유럽의 절대주의가 몰락하자, 시민 세력이 대두되면서 국민 문학이 발전하게 됩니다. 당시의 대표적인 문학 사조는 영국의 청교도 문학과 프랑스의 고전주의 문학입니다. 셰익스피어 이후 최고의 시인이자 청교도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인 밀턴은 12권의 대서사시인 "실낙원"을 저술했습니다. 또한 시민 계급의 합리적 정신을 표현한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가 있고, 당시 인간 사회를 통렬하게 비판한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도 이때 저술되었습니다.
17세기 말, 프랑스에서는 신고전주의 연극이 발달했는데 루이 14세의 지원을 받아 두 명의 위대한 극작가가 탄생했습니다. 파멸에 이르는 인간의 내면적 갈등을 주로 그린 비극작가 라신과 시민의 눈으로 귀족 사회를 비판한 "인간혐오자"와 "수전노" 등을 쓴 희극작가 몰리에르가 그들입니다.
철학
17세기 철햑 분야에서는 진정한 인식이 인간의 경험에서 나온다는 경험론과 인간의 이성에서 비롯된다는 합리론의 두 갈래 흐름이 형성되었습니다. 경험론에 있어서는 영국의 프란시스 베이컨이 대표적입니다. 그는 과학적인 연구와 관찰만이 유용한 지식을 낳는다는 귀납적 방법론을 확립하고 경험주의의 전통을 세워놓았습니다. 이 전통을 홉스와 로크가 계승했습니다. 합리론에 있어서는 프랑스의 데카르트가 대표적입니다. 데카르트는 모든 형태의 지식을 방법적으로 의심하고 나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라는 직관이 확실한 지식임을 발견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사실이나 법칙으로부터 구체적인 사실이나 법칙을 추론해내는 접근방법인 연역법을 확립합니다. 데카르트의 합리론은 프랑스 과학 진보의 기초가 되었고, 이를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 파스칼이 계승했습니다. 독일에서는 비판 철학의 칸트가 대표적입니다.
반응형'세계사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사 상식 40) 빈 체제 - 절대주의로 회귀 (0) 2023.10.18 (세계사 상식 39) 낭만주의와 자연주의 (0) 2023.10.17 (세계사 상식 37) 나폴레옹 - 프랑스 제국 시대 (0) 2023.10.15 (세계사 상식 36) 프랑스 시민혁명 (0) 2023.10.14 (세계사 상식 35) 시민혁명와 청교도혁명 (0) 2023.10.13